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여러가지

[스크랩] 四天王의 이해

<四天王의 이해>


 우리나라의 큰 사찰에는 일주문을 지나 경내로 들어가면 天王門을 맞이하게 되는데 천왕문에 들어서면 무시무시한 위엄을 지닌 사천왕상 내지는 사천왕도상을 접하게 됩니다. 
 사천왕을 인도 신화에 나오는 호세신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 또 護世天이라 불리기도 하지만 일찍부터 불교에 받아들여졌습니다. 인도에서 처음으로 형상화된 사천왕상은 간다라 출토의 浮彫나 부처님 생애를 그린 佛畵 등에는 貴人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화 되어 가는 과정에서 武人形의 사천왕으로 변해 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四天王은 欲界 6天의 제1 사왕천의 주인이자 須彌의 4洲를 수호하는 神입니다. 수미산 중턱 4층급을 住處로 하면서 사방을 지키고 불법을 수호하는 네 명의 天王. 즉 東方 持國天王, 南方 增長天王, 西方 廣目天王, 北方 多聞天王을 동서남북에 각각 배치한 것입니다. 
 宋國 智嚴譯,『四天王經』에 의하면 도리천의 주인인 제석천의 명을 받아 4洲에 내려와서 중생들의 선악을 은밀하게 살펴보고 이를 보고하는 神이라고 합니다. 
 사천왕은 나라와 경전에 따라 도상에 약간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持物이 일정하지 않으나 다문천은 손에 항상 보탑을 들고 있어 사천왕의 명칭을 확인하는 데 하나의 기준이 되며 대체로 칼과 창, 탑 등의 무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東方 持國天王(지국천왕)>

건달바·부단나 등 두 신을 지배하여 東洲를 수호하는 지국천왕은 범어 Dhritarastra의 번역으로 治國天이라고도 하며 須彌山 4층에 머물고 그 宮殿을 賢上城이라 합니다. 지국천왕은 바른 손으로 옆구리를 짚고 왼 손에 칼을 들고 갖가지 天衣로 장식한 형상을 하고 있는데 경전에 따라 도상의 차이가 약간씩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선 주로 왼손에 악기를 들고 있습니다.



<南方 增長天王(증장천왕)>
구반다·폐려다 등 두 신을 지배하여 南洲를 수호하는 증장천왕은 범어  Virudhaka의 번역으로 自他의 善根을 增進한다는 뜻의 이름입니다. 왼손은 주먹을 쥐고 허리에 대고 바른 손은 칼을 들고 있습니다. 



<西方 廣目天王(광목천왕)>

용·비바사 등 두 신을 지배하여 西洲를 수호하는 광목천왕은 범어 Virupaksa의 번역으로 입을 벌리고 눈을 부릅떠서 위엄을 나타내어 나쁜 것들을 물리치므로 廣目·惡目·惡眼 이라고도 부르고, 여러 가지 웅변으로 나쁜 이야기를 굴복시키므로 雜語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선 주로 바른 손은 허리춤에서 용의 목덜미를 움켜쥐고 있고 왼손은 여의주 같은 구슬을 쥔 채 팔을 들고 있습니다.



<北方 多聞天王(다문천왕)>

야차·나찰 등 두 신을 지배하여 北洲를 수호하는 다문천왕은 범어 Dhanada 또는 Vaisravana의 번역으로 毘沙門이라고도 쓰고, 다른 이름으로 俱吠羅(Kuvera)라고도 합니다. 北洲를 수호함은 물론이요, 항상 부처님의 도량을 옹호하면서 설법을 듣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多聞이란 이름을 사용합니다. 왼손은 항상 보탑을 들고 있으며, 바른 손은 창을 쥐고 있습니다.



이렇게 동서남북을 수호하는 神을 四天王이라 합니다.
그런데 佛敎는 有神敎가 아닌 無神敎인데 어떻게 四天王 같은 神을 믿느냐고 반문할 수 있습니다.
불교는 분명 철저한 無神敎입니다. 사천왕과 같이 불교에 등장하는 무수한 神들 그리고 神將·神衆들은 有神敎나 一神敎에서 말하는 전지전능하고 천지를 창조한 그런 절대자로서의 神이 아닙니다.

불교에서는 그러한 절대자로서의 神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불국사사천왕상>




<부석사사천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