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여러가지

[스크랩] 사천왕 [四天王]




세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수미산(須彌山)의 중턱에 있는 사왕천(四王天)의 주신(主神).
 사대천왕(四大天王)·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이라고도 한다. 욕계육천(欲界六天)의 최하위를 차지한다. 수미산 정상의 중앙부에 있는 제석천(帝釋天)을 섬기며, 불법(佛法)뿐 아니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수호하는 호법신이다. 동쪽의 지국천왕(持國天王), 남쪽의 증장천왕(增長天王), 서쪽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북쪽의 다문천왕(多聞天王:毘沙門天王)을 말한다.

그 부하로는 견수(堅手)·지만(持) )·항교(恒) )가 있는데, 이들은 수미산의 아래쪽에 있다. 또한 사천왕은 이들 외에도 수미산을 둘러싸고 있는 지쌍산(持雙山) 등 일곱 겹의 산맥과 태양·달 등도 지배하고 있다.


※불법(佛法)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수호하는 외호신(外護神). 사대천왕(四大天王)·호세사천왕(護世四天王)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고대 인도종교에서 숭상하던 귀신들의 왕이었으나, 불교에 귀의하여 부처와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이 되었다. 수미산(須彌山) 중턱에 있는 사왕천(四王天)의 주신(主神)으로 동쪽의 지국천왕(持國天王), 남쪽의 증장천왕(增長天王), 서쪽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북쪽의 다문천왕(多聞天王)을 일컫는다. 위로는 도리천을 다스리는 제석천(帝釋天)을 섬기고 아래로는 팔부중(八部衆)을 지배하는데, 사천왕의 부하로는 견수(堅手)·지만·항교(恒橋)가 있다. 한국의 사찰에서는 대개 일주문(一柱門)과 본당(本堂) 사이에 천왕문(天王門)을 세워 그림이나 나무로 깎아서 만든 조각상을 봉안하고 있다. 보통 사천왕상은 무장한 장군의 모습처럼 갑옷을 두르고 부릅뜬 눈, 잔뜩 치켜올린 검은 눈썹, 크게 벌어진 빨간 입 등 무서운 얼굴에 손에는 큼직한 칼 등을 들고 발로는 악귀를 밟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대부분 검(劍;지국천)·비파(琵琶;다문천)·탑(塔;광목천)·용(龍;증장천) 등을 들고 있다. ※
 지국천왕 [持國天王] 
산스크리트의 드리타라슈트라데바(Dhtarstra-deva)의 번역어이며, 치국천(治國天)·동방천(東方天)·지국천(持國天)이라고도 부른다. 수미산(須彌山)의 동쪽 중턱에 살면서 동방세계를 수호하는 신이며, 특히 불법을 지킨다. 그 형상(形象)에 관해서는 일정하지 않으나 보통은 무장형(武將形)이며, 청색의 몸에 갑주(甲胄)와 갖가지의 천의(天衣)를 걸치고 있고, 왼손은 팔을 뻗쳐서 칼을 쥐고 있으며, 오른손은 구부려서 보주(寶珠)를 쥐고 있는 경우도 있다. 증장천(增長天)·광목천(廣目天)·다문천(多聞天)과 함께 사천왕(四天王)의 하나로 꼽힌다.
 증장천왕 [增長天王]
산스크리트의 비류다카데바(Virdhaka-deva)의 번역어로, 비류다가천(毘留茶迦天)·비류류천·증장천(增長天)이라고도 일컫는다. 수미산(須彌山)의 제 4 층에 살면서 남방을 지키며 무량백천(無量百千)귀신의 우두머리라고 한다. 그 형상은 일정하지 않으나 보통 무장형(武將形)으로, 적육색(赤肉色)의 몸에 갑주(甲胄)와 여러 가지의 천의(天衣)를 입고 오른손에는 용을 잡고 있으며 왼손에는 여의주를 쥐고 있고 분노한 얼굴이다. 지국천(持國天)·광목천(廣目天)·다문천(多聞天)과 함께 사천왕(四天王)의 하나이다.
 광목천왕[廣目天王]
 다문천왕 [多聞天王] 
폐실라마나(吠室羅摩拏)로 음사하며, 비사문천(毘沙門天)이라고도 한다. 원래 인도의 서사시 《마하바라타:Mahbhrata》에서는 북방을 수호하는신이며 재부(財富)의 신으로 되어 있는데, 그것이 불교에 전래된 것이다. 수미산(須彌山)의 제4층 수정타(水精)에서 야차(夜叉)와 나찰(羅刹)의 무리를 거느리고 북구로주(北俱盧洲)를 함께 다스린다. 항상 도량을 지키며, 부처의 설법듣기를 즐긴다고 하여 다문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또는 그 복덕(福德)의 명성이 멀리까지 들리기 때문에 다문천이라고 한다. 따라서 호법(護法)과 시복(施福)의 신으로 숭배되고 있다.